본문 바로가기
인사노무 Cyberloafing

퇴직소득세 계산법, 퇴직소득세 계산기

by 스마트커피 2025. 3. 21.

퇴직소득세 계산법, 퇴직소득세 계산기

 

가끔 내 퇴직금이 얼마인지 궁금해질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퇴직금을 확인해보면 세전 금액인데, 세금까지 다 제외하고 순수 내가 받는 금액이 얼마인지도 궁금해집니다. 

아래에는 퇴직소득세를 계산하는 법을 알아보고, 어림잡아 간편하게 알아보는 방법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내 퇴직금에 대해 알아보려면 아래에서 간편히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참고]

 

 

내 퇴직금은 현재 얼마인가?

"내 퇴직금이 현재 얼마인지" 궁금하시지 않으신가요? 하지만 그보다 먼저, 내 퇴직금이 일반 퇴직금인지 퇴직연금인지, 그리고 퇴직연금이라면 DB형인지 DC형인지 확인하는 게 필수입니다.  이

smartcoffee.kr

 

■ 목차

  1. 퇴직소득세 간편계산법 [퇴직소득세 계산기]
  2. 퇴직소득세 계산 기본 구조

 

 

1. 퇴직소득세 간편계산법 [퇴직소득세 계산기]

 

정확한 세금 계산은 복잡하지만, 대략적인 금액을 빠르게 알아보려면 아래 방법을 바로 이용해 보세요.

이 퇴직소득세의 계산 기본 구조를 알고 싶으시면 하단 2번 챕터를 살펴보세요!

[간편계산]
퇴직소득이 1억 원 이하일 경우

• 공제액 : 근속연수 × 50만 원 + 퇴직소득의 50%
• 세율 : 과세표준에 약 10% 적용
• 세액공제 : 근속연수 × 15만 원
• 최종 세금 : 세액 - 세액공제

 

 

[계산 예시]
• 퇴직소득: 8,000만 원
• 근속연수: 15년

 

[공제액]
•  근속연수 15년 × 50만 원 = 750만 원
•  퇴직소득 8,000만 원 × 50% = 4,000만 원
•  총 공제액 = 750만 원 + 4,000만 원 = 4,750만 원
•  세율: 예시에서 15%를 사용했으며, 조건에 따라 10~15% 범위 내에서 변동 가능.

퇴직소득세 계산법, 퇴직소득세 계산기

 

이 모든게 귀찮으신분은 아래 퇴직소득세 계산기를 이용해 보세요!


[주의]
이 간편 계산법은 공제 한도나 세율 구간을 단순화한 것이므로 실제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계산은 위 퇴직소득세 계산기를 활용해 보세요.

 

 

2. 퇴직소득세 계산 기본 구조

 

퇴직소득세의 구조에 대해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하였습니다.

 

[퇴직소득]
퇴직소득은 근로자가 퇴직할 때 받는 돈을 의미합니다. 이건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요, 

하나는 퇴직금이고, 다른 하나는 퇴직연금입니다.

[공제액]
공제액은 퇴직소득에서 세금을 계산하기 전에 빼주는 금액을 뜻해요. 이건 세금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공제액은 두 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


• 근속연수 : 회사에서 얼마나 오래 일했는지, 즉 근무 기간이에요. 오래 일할수록 공제액이 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금액 : 퇴직소득의 크기에 따라 공제액이 달라집니다.

 

 


[과세표준]
과세표준은 실제로 세금을 부과할 때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퇴직소득 - 공제액 = 과세표준
즉, 퇴직소득에서 공제액을 뺀 나머지 금액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이 금액을 가지고 세금을 매기게 됩니다.

공제액이 크면 과세표준이 줄어들어서 세금 부담이 덜해지게 됩니다.


[최종세액]
세액은 최종적으로 내야 할 세금 금액이에요. 이건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고, 거기서 추가로 세액공제를 빼서 계산합니다. 식으로 나타내면:
• 세액 = 과세표준 × 세율 - 세액공제
• 세율 : 소득 크기에 따라 정해진 비율, 소득이 많을수록 세율이 높아짐(누진세율).
• 세액공제 :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추가로 세금을 깎아주는 항목. 예를 들어, 나이 많거나 부양가족이 있으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세액은 과세표준에 세율을 적용한 뒤 세액공제를 빼서 나온 최종 금액입니다.

 


 

이렇게 퇴직소득세 계산법을 간단히 알아보고 나니, 내 퇴직금이 실제로 얼마나 손에 들어올지 조금 더 감이 오시죠?

물론 세금 계산이 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위의 간편 계산법이나 퇴직소득세 계산기를 활용하면 훨씬 수월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