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노무 Cyberloafing

쉬운 설명 실업급여신청방법

by 스마트커피 2025. 2. 11.

쉬운 설명 실업급여신청방법

 

실업급여는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퇴사한 경우,

재취업할 때까지 생계를 지원하고 구직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지급되는 급여입니다.
다음과 같이 실업급여신청방법절차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① 고용보험 가입 기간 : 퇴직 전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② 비자발적 퇴사 : 회사의 구조조정, 계약 종료 등 본인의 귀책 사유 없이 퇴사
③ 구직활동 의사 : 적극적으로 재취업하려는 의지가 있어야 함

실업 급여 신청 조건이 제일 중요합니다.
상세한 내용을 아래에서 꼭 확인해 주세요.

◎ 현직자가 알려주는 실업급여조건 바로가기

이제 퇴사 후 “실업급여신청방법”에 대해 단계별 절차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 목차

  1. 이직확인서 제출 여부 확인
  2. 고용24에서 구직 등록
  3. 수급 자격 신청 교육 이수
  4. 고용센터 방문하여 실업급여 신청
  5. 실업급여 지급
  6. 추가 혜택 및 기타 내용


1. 퇴사 후 "이직확인서" 제출 확인


이직확인서는 퇴사한 근로자의 퇴사 사유와 고용보험 가입 기간을 확인하는 서류
회사에서 고용센터에 직접 제출하는 서류이므로 따로 발급받을 필요 없음


이직확인서 제출 여부 확인 방법


고용24 홈페이지 ▶ 로그인 ▶ 실업급여 ▶ 이직확인서


② 이직확인서 처리 현황 확인

 

 

쉬운 설명 실업급여신청방법
이직확인서 처리현황 확인



③ 위 이직확인서 처리 확인 후, 회사가 제출하지 않았다면 요청해야 함
(미제출 시 과태료 부과됨)

2. 고용24에서 구직 등록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고용24에서 구직 등록이 필수


고용24 홈페이지 ▶ 로그인 ▶ 실업급여 ▶ 수급 자격


② 구직 신청 확인 ▶ “고용24 구직 신청하기


3. 실업급여 "수급 자격 신청 교육" 이수

고용24 홈페이지 ▶ 로그인 ▶ 실업급여 ▶ 수급 자격


② 수급 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 구직 등록 후 7일 이내에 들어셔야 


③ 교육 수강 완료 후 "수강 확인서" 자동 발급됨


4. 관할고용센터 방문하여 "수급 자격 신청"

 

고용24 홈페이지 ▶ 로그인 ▶ 실업급여 ▶ 수급 자격


② 수급 자격 신청서 인터넷 제출


③ 인터넷 신청 후 준비 서류를 가지고 관할 고용센터 방문 : 신분증/통장사본
※ 주소지 관할 고용센터에 방문해야 함

 

 


④ 실업급여 수급 신청서 작성 후 제출

 


5, 실업급여 지급

실업 인정이 완료되면 정해진 날짜에 계좌로 입금


② 지급 금액 및 기간은 퇴사 전 평균임금과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다름


③ 실업급여 지급 기간 (최대 270일)

고용보험 가입 기간 만 50세 미만 지급일수 만 50세 이상 지급일수
1년 미만 120일 120일
1년 이상 ~ 3년 미만 150일 180일
3년 이상 ~ 5년 미만 180일 210일
5년 이상 ~ 10년 미만 210일 240일
10년 이상 240일 270일

6. 추가 혜택 및 기타 내용

 

① 조기 재취업 수당

실업급여를 받는 도중 재취업에 성공하면 "조기재취업수당" 지급 가능

남은 실업급여의 50%를 추가로 받을 수 있음

② 수급 자격 인정 후 7일 대기기간

실업급여는 신청 후 7일 동안 대기 기간이 있음

이 기간 동안 급여 지급이 되지 않음

대기 기간이 끝난 후 첫 번째 실업급여가 지급됨


③ 소득 발생 시 신고 필수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등 소득이 발생하면 반드시 고용센터에 신고해야 함

미신고 시 부정수급으로 간주되어 벌금 및 반환 조치될 수 있음


이제 어려워 마시고 바로 실업급여 신청을 온라인으로 해보세요!